2013년 7월 12일 금요일

졸업환경공학 산성광산폐수 처리를 위한 반응 벽체의 반응물질로서 산업부산물 적용에 관한 연구

졸업환경공학 산성광산폐수 처리를 위한 반응 벽체의 반응물질로서 산업부산물 적용에 관한 연구
[졸업][환경공학] 산성광산폐수 처리를 위한 반응 벽체의 반응물질로서 산업부산물 적용에 관한 연구.hwp


목차
1. A b s t r a c t

1. 서론

1. 2. 이론적 배경
1. 2. 1. 산성광산폐수(Acid Mine Drainage, AMD)
1. 2. 2.황산염환원세균(Sulfate Reducing Bacteria, SRB)
1. 2. 3.산업부산물(Industrial By-Products)

1. 3. 실험재료 및 방법
1. 3. 1.실험재료
1. 3. 2.실험방법

1. 4. 실험결과 및 고찰
1. 4. 1. 실험재료의 중금속 용출시험
1. 4. 2. 컬럼시험결과

1. 5. 결론



본문
1. 서론

휴‧ 폐광산 환경오염문제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폐갱구 및 광산폐기물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폐수(Acid Mine Drainage, AMD)이다. 광산폐수는 낮은 pH(2.5~5.0)를 보이며 고농도의 황산염과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이나 휴‧폐광된 관계로 아무런 정화과정 없이 그대로 주변 수계나 토양 및 지하수로 유출되어 농작물의 성장은 물론 궁극적으로는 이를 섭취하는 인간의 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우리나라에는 산성광산폐수가 유출되고 있는 석탄광이 150여개에 달하며, 하루에도 약 48천여 톤의 산성수들이 유출되고 있다. 또한 최근 국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폐광산 유출수 내 카드뮴에 의한 지역주민의 영향에 대한 문제는 산성광산폐수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따라서 산성광산폐수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조치와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대사회에서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산업공정에서 다량 발생되는 산업부산물(Industrial by-product)의 처리문제 또한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는 상태이다. 유기성폐기물의 매립지 반입금지와 폐자원의 낮은 재활용 비율은 문제의 심각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보존이라는 어려운 과제와 함께 생각해 볼 때, 산업부산물의 환경오염 복원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면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인 하수슬러지, 폐석회 및 제강슬래그를 이용하여 광산폐수로 오염된 지하수의 원위치(In-situ) 처리를 위한 투과성반응벽체(Permeable Reactive Barrier)의 반응물질로서


본문내용
ost serious environmental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mining industry around the worl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otential of sewage sludge as a carbon source for sulfate reducing bacteria and waste lime and steel slag as a neutralize agent for acid mine drainage bioremediation for use in permeable reactive barriers.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synthetic AMD in six column

참고문헌
1. 대한석탄협회, 2000, “석탄광 개발과 환경대책”, 탄협 제 32호
2. 전철학, 나현준, 조영균, 이성택, 2000, “우분 기질과 미생물 Granule을 이용한 산성 중금속 폐수의 처리”, 대한환경공학회지, Vol. 22, No. 8, pp.1397~1406.
3. 김주용, 전효택, 정명채, 1999, “산성광산배수의 처리를 위한 중화제로서 패각류의 이용가능성 평가”, 한국자원공학회지, Vol. 36, No. 5, pp.319~327.
4. 정영욱, 민정식, 권광수, 이현주, 1997, “광산폐수 정화용 소택지의 기질물질 효율성 평가”, 한국자원공학회지, Vol. 34, pp.142~151.
5. 환경부, 2002, “하수슬러지처리 종합계획”
6. APHA, AWWA and WEF, 1998,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 Water, 20th Edition
7. A. Xenidis, A. Moirou and I. Paspallaris, 2002, Reactive materials and attenuation process for permeable reactive barriers, Mineral wealth 123. pp.35-48.
8. B. Christensen, M. Laake and T. Lien, 1996, Treatment of acid mine water by sulfate-reducing bacteria; Results from a bench scale experiment, Water Research, Vol. 30, No. 7, pp.1617-1624.
9. B. J. Baker and J. F. Banfield, 2003, Microbial communities in acid mine drainage, FEMS Microbiology Ecology, 44, pp.139-152.
10. C. Garcia, D.A. Moreno, A. Ba
 

졸업환경공학 Rotary Kiln을 이용한 도시고형폐기물의 열분해 생성 잔류물에 관한 연구

졸업환경공학 Rotary Kiln을 이용한 도시고형폐기물의 열분해 생성 잔류물에 관한 연구
[졸업][환경공학] Rotary Kiln을 이용한 도시고형폐기물의 열분해 생성 잔류물에 관한 연구.hwp


목차
A B S T R A C 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열분해 공정
2.2 Rotary kiln의 운전 및 잔재물의 활용

3. 실험 방법
3.1. 대상시료
3.2 실험 장치 및 운전조건
3.3.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열분해 산물의 수율

5.결론


본문
A B S T R A C T

Most of pyrolysis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heating-rate conditions for a very small amount of single component, with limited application of pyrolysis system like pilot plant.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ristics of pyrolysis products through pyrolysis characteristic tests of MSWs. A target sample was recomposed of each component based on dry compositions of MSWs that are directly collected from S city J gu. Isothermal pyrolysis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25Kg MSW samples in a rotary kiln.
Pyrolysis products such as char, liquid, gas for each pyrolysis condi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yields, composition and heat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ecomposition reaction at 430℃ is faster than at other temperatures. Gas products(CO, H2, CH4) were obtained more effectively at higher temperature conditions but the amount of gas product was not so substantial.


1. 서론

국내의 폐기물은 매립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소각 처리의 비율은 현재 약 20% 수준에 이르고 있다. 소각처리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문제는 다이옥신등 배출가스 처리문제라 할 수 있으며, 소각재의 별도처리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선진국들과 국내에서는 열분해 시스템 개발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져 왔으나, TGA 실험 및 단일성분 물질의 등온 열분해 실험을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다양한 물질들로 이루어진 혼합 폐기물을 청정한 연료로 전환하는 열분해/용융 기술에 의해 재활용성이 높은 고형물로 전환하는 방법은 구성물질의 복잡성으로 인해 미미한 수준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소형 Batch 및 소형 로터리 킬른 실험을 통하여 25kg/hr의 Rotary Kiln을 제작하여 도시고형 폐기물의 열분해 실험을 하였다.
Batch 장치의 실험에서는 산소차단이 용이하여 반응기 내부의 산소농도를 거의 1%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했다. 하지만 Rotary Kiln의 회전체 반응기인 경우는 회전 연결부위에서의 산소 유출입을 차단하는 것과 생성된 열분해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후단에 Gas Fan을 가동시킬 경우에 시료 투입구 쪽에서의 산소 유입이 발생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R/K식 반응기는 시료가 회전체 내부 벽면에 닿아서 열적 분해가 되는 장치이므로 내부 표면 온도에 중점을 두어 실험


본문내용
formed on heating-rate conditions for a very small amount of single component, with limited application of pyrolysis system like pilot plant.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ristics of pyrolysis products through pyrolysis characteristic tests of MSWs. A target sample was recomposed of each component based on dry compositions of MSWs that are directly collected from S ci

참고문헌
1. Kuniyasu Kawaguchi, Kazutada Miyakoshi, Kiyoshi Momonoi, Studies on the pyrolysis behavior of gasification and melting system for municipal solid waste, Journal of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pp102-110, 2002
2. 박현서, 반봉찬, 권영배, “폐기물의 열분해/가스화 용융처리 기술의 동향”, 한국 열분해용융공학회, pp71-72, 120-121, 2001
3.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열분해용융공학회, pp463-479, 2002
4. Peter McKendry, Energy production from biomass(part 1) : overview of biomass, 2001
5. Kefa Cen, New Development of Solid Waste Thermal Treatment Technologies.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bustion, Incineration / Pyrolysis and Emission Control, Jeju, Korea, 2002
 

졸업환경공학 Bacillus sp.의 소독 지표가능성평가

졸업환경공학 Bacillus sp.의 소독 지표가능성평가
[졸업][환경공학] Bacillus sp.의 소독 지표가능성평가.hwp


목차
A B S T R A C 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대체 지표 생물의 필요성
2.2 지표종의 선정 조건
2.3 현재 병원성균 처리지표의 한계와 제안

3. 조사방법
3.1. 시료 채취
3.2호기성 포자균의 준비 및 계수
3.3 미생물 배양을 위한 배지
3.4 바실러스 균의 불활성화 실험
3.5 CT값과 Log 제거율 계산
3.5.1 CT value
3.5.2. Log 제거율 계산

4. 실험결과 및 고찰
4.1 Bacillus sp. 와 Giardia CT 비교 결과
4.2 호기성 포자의 로그 불활성화 비교

5. 결론


본문
1. 서론

먹는물 처리공정의 발달과 처리기준의 강화로 수인성 병원균에 의한 집단발병 사례가 현저히 줄어든 반면, 처리수 수질 향상에도 불구하고 소독에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병원성 원생동물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그 중 Giardia lamblia.는 동물의 체내에서 설사증을 일으키는 수인성 원생동물로서 체외에서는 물과 주변 환경에 잘 견디는 안정한 형태인 포낭(cyst)으로 자연계에 존재한다. 포낭은 견고하고 치밀한 세포벽을 가지고 있어 소독제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고, 경우에 따라 살균 처리한 음용수에도 생존한다. 이와 같은 병원균은 복잡한 분석방법, 낮은 농도에서 검출의 어려움, 경제성, 결과도출의 장시간 소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상시 검출은 쉽지 않은 실정이므로 병원성 원생동물 존재 여부를 판정할만한 지표종 연구가 시급하다.
원수에 다량으로 존재하던 병원성 원생동물이 처리수에서는 검출방법의 한계로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으나 실제로는 훨씬 많은 수가 존재하므로 수인성 질병에 대한 위험성도 보고된 것보다 높다. 물론 수인성 질병을 가장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사전에 정수장에서 직접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감시하고 농도를 규제하는 것이지만 한계가 있으므로 현재 각국의 수처리 시설에서는 이런 방법보다는 원생동물 관리에 요구되는 정수장 시설 및 그 운전기준을 규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현 정수장에서 관리되고 있는 탁도 기준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생동물 크기의 총 입자수를 제안하기도 하였으며 대부분 비병원성이나 환경수중에 고농도로 존재하고 포자를 형성하여 환경변화에 강한 호기성 포자균을 병원성 원생동물 함량지표종으로 연구한 결과도 나와 있다.
호기성 포자균은 대부분 비병원성으로 처리수의 효율 평가에 매우 효과적이고 원수 및 각 처리 공정에 고루 분포하며 검출하는데 1일 정도(21±1 hr)의 짧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처리 효율을 평가하는데 간접적인 대체 지표가 될 수 있고, 비용도 저렴한 편으로 경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우리나라 정수장을 대상으로 소독 내성이 크고 포자를 형성하며 원생동물보다 분석이 쉬운 호기성 포자균 중에서 높은 우점율을 보이는 바실러스 종의 불활성화 연구를 통해서 2004년부터 적용되는 Giardia CT기준을 대신할 지표종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해 보고자하였다.


본문내용
in concern, is more resistant to disinfection than usual bacteria and is difficult to detect. As direct monitoring for waterborne pathogens such as G. lamblia is inaccurate, time consuming, and expensive, viable surrogate is needed .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to assess Bacillus sp. as a surrogate for Giardia cyst in water treatment plants.
1. Because CT value for inactivation of B. subtili

참고문헌
1) 김경주, 홍욱선, 이기세, 2001, “수인성 병원성 원생도물 Giardia lamblia배양과 Encystation 및 Giardia lamblia cysts의 염소소독에 관한 연구”,대한환경공학회 춘계학술연구발표

2) 류재근, 1994, “음용수의 미생물 발생원인과 처리방법”, 음용수의 미생물 살균에 관한 심포지움

3) 박중현, 1994, “수돗물의 미생물학”, 대한상하수도학회 상수도기술서적

4) 윤제용 등, 1998, “CT 값에 의한 정수장의 소독능 평가”, 수질보전학회, 제 14권 4호, pp413~423

5) 이목영, 조은주, 김도연, 변승헌, 이의광, 오세종, 안승구, 2003“환경수 중 크립토스포리디움, 오시스트 및 지아디아 시스트 검출의 정확도 및 회수율 향상을 위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39, No.1, pp27-35

6) 이목영, 2003,“상수도의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 및 지표세균의 분포실태와 제어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환경부, 1991, 수질오염공정시험법(환경부고시 제91-85),환경부

8) 환경부, 2002, 정수처리에 관한 기준(환경부고시, 제 2002-106)

9) US-EPA, 1991, Guidance Manual for Compliance with the filtration and disinfection Requirements for Public Water systems using Surface Water Sources

10) Chick, H., 1908, An investigation of the laws of disinfection, J.Hygiene, Vol 8, 92
 

졸업환경공학 정수처리시 Hybrid PAC-UF Membrane System의 성능평가

졸업환경공학 정수처리시 Hybrid PAC-UF Membrane System의 성능평가
[졸업][환경공학] 정수처리시 Hybrid PAC-UF Membrane System의 성능평가.hwp


목차
A B S T R A C 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막여과의 정의
2.2 막여과 방식
2.3 UF 막여과
2.4 활성탄의 물성과 특성
2.5 흡착능의 평가식

3. 실험재료 및 방법
3.1 Dead-end 형 평막 실험장치
3.2 분말활성탄
3.5 분석 항목 및 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각 수질 항목 별 제거효율
4.2 투과플럭스의 거동평가

5. 결론


본문
1. 서론

최근의 수 처리 공정에 대한 연구들은 보다 더 나은 질의 음용수를 좀더 간단한 방법으로 만들기 위해 UF 기술의 적용에 그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UF막을 상수처리공정에 적용시킬 경우 기존의 응집, 침전, 여과 공정을 대체할 수 있고, 장치가 compact하여 처리시간이 짧고 부지면적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갑작스러운 원수변동에 대한 대응력이 강해 부유 물질 및 미생물의 제거율을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할 수 있어 기존의 정수처리 공정보다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UF 단독공정 만으로는 소독부산물의 전구물질이나 맛,냄새 유발물질, DBPs(disinfect by-products), pesticide등과 같은 SOCs (synthetic organic chemicals)의 제거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UF막과 PAC 흡착공정을 결합하거나 GAC와 UF을 결합한 Hybrid system을 개발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GAC와 UF의 결합 공정이 제안되어 왔으나 막과 활성탄의 처리 특성상 어느 쪽도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예를 들어 GAC 흡착 후 UF 여과공정의 결합 시스템에 있어서는 원수가 GAC로 곧바로 유입되기 때문에 GAC가 쉽게 오염되게 된다. 즉 atrazine이 어느 계절주기에서 주입될 경우 흡착주기에서 GAC에 의해 초기 상당량 흡착제거 되겠지만 흡착상이 파과에 도달하게 되는 흡착주기의 말단에서는 atrazine의 제거가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GAC에 의한 micropollutants의 제거는 운전주기에 따라 매우 영향을 받는다. 한편 막 여과공정 후 GAC 흡착공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후단의 활성탄에 미생물의 성장에 따른 생물학적 NOM의 증가로 인해 막공정에 의한 소독 부산물 제거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GAC의 full-scale 운


본문내용
rapidly accepted in drinking water treatment in order to retrofit existing water treatment and to apply for advanced treatment. Due to its superior rejection of microbial contaminants, taste and odor, disinfection by-products forming potentials (DBPFPs) and synthetic organic compounds (SOCs), it has been demonstrated to be competitive with other treatment processes. Ultrafiltration (UF) as low-pr

참고문헌
1. 조봉연, “막여과 이론과 실제”, 양서각, pp10~17, pp29~30, 1999
2. 오희경, “Organic Control by Hybrid UF Membrane with PAC : Bench and Pilot-Scale Evaluation,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3. Baker, R.W. and Park, M., Membran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McGraw-Hill, New York, pp87~152, 2000
4. Abdessmed, D., Nezzal, G. and Aim, R.B., Coagulation-adsorption -ultrafiltration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reuse, Desalination, pp307~314, 2000
5. Adham, S.S., Snoeyink, V.L., Clark, M.M, and Anselme, C. Predicting and verifying TOC removal by PAC in Pilot-Scale UF system, J. of AWWA, pp58~68, 1993
6. Campos, C., Baudin, I. and Laine, J.M., Adsorption performance of powdered activated carbon ultrafiltration systems, Wat. Sci. and Tech : Water Supply, pp13~19, 2001
 

졸업환경공학 정수공정에서의 가압식과 침지식 MF 막 운전성능 평가와 비교에 관한 연구

졸업환경공학 정수공정에서의 가압식과 침지식 MF 막 운전성능 평가와 비교에 관한 연구
[졸업][환경공학] 정수공정에서의 가압식과 침지식 MF 막 운전성능 평가와 비교에 관한 연구.hwp


목차
A B S T R A C T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막의 개요
2.1.1. 막의 정의
2.1.2. 막의 분리기작
2.2. 정밀여과(MF) 막
2.2.1. MF 막의 특성
2.2.2. 가압형과 침지형 막 공정
2.3. 막 전처리
2.3.1. 전처리의 필요성
2.3.2. 응집공정

3. 실험 장치 및 방법
3.1. 단독 MF 막 공정
3.2. 응집을 전처리로 한 MF 막 공정
3.3. 막면선속도의 변화에 따른 MF 막 공정

4. 결과 및 고찰
4.1 단독 MF 막 공정
4.2. 응집을 전처리로 한 MF 막 공정
4.3. 막면선속도의 변화에 따른 MF 막 공정

5. 결론


본문
A B S T R A C T

There are many considerable factors in selecting the membrane process. Among these, whether to use a submerged or a pressurized system is a common question and typically requires a detailed evaluation.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pressurized and submerged systems without any pretreatments and with coagulation. In addition, tangential force in pressurized membrane module was also evaluated by several cross flow velocities.
Based on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submerged system shows a better performance than pressurized system. And increase of TMP slowed down by coagulation is combined with membrane systems as hybrid proces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pressurized system, the cross flow velocity needs to be increased by increasing feed flow rate to membrane module.

1. 서 론

최근 기존의 정수처리공정을 대체할 수 있으면서, 고도정수처리 시스템으로서 적용될 수 있는 막 공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특히 MF 막과 UF 막은 낮은 적용압력으로 높은 투과유량을 유지할 수 있어 생산성과 경제성이 다른 막에 비해 우수하며, 고도정수처리를 위한 전처리 및 후처리공정, 그리고 기존 정수처리공정과의 결합시스템 등을 구성할 수 있는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장점이 있다.1)

중공사 MF 막은 구동압력(가압식과 흡입식)과 모듈내장 방식 등에 따라 가압식과 침지식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설계 시 어떤 운전방식이 처리 대상 원수에 적합할 것인지 고려되어야 하며, 설계에 앞서 파일럿 운전 등을 통해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수 분야에서 많은 운전 실적과 연구가 보고 된 가압형 공정에 비해 침지형 공정은 하⋅폐수 처리 분야에서 주로 MBR(Membrane Bioreactor) 공정의 형태로 그 효율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최근 정수처리공정에서도 침지형 공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연구 및 운전사례가 늘어나면서, 실제 정수시설의 적용에 앞서 운전방식 간의 비교가 필요하게 되었다.2)

한편, 경제적인 운전을 위한 Fouling 제어와 막 공정에 집중되는 처리 부하, 수질 또는 운전 결함에 의한 위험성을 줄이고, 보다 안전한 수질의 음용수를 생산하기 위해 전처리나 후처리 공정을 결합시킨 조합공정이 다양하게 검토 및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막 조합공정을 위해서는, 운전 및 유지관리가 간단하고 경제적인 전처리 공정의 선정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한 공정을 통해 막 공정이 가지는 적은 소요부지면적과 간단한 배관, 밸브 등의 부대시설 단순화,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방 간이


본문내용
electing the membrane process. Among these, whether to use a submerged or a pressurized system is a common question and typically requires a detailed evaluation.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pressurized and submerged systems without any pretreatments and with coagulation. In addition, tangential force in pressurized membrane module was also evaluated by severa

참고문헌
1. EPA, Low-Pressure Membrane Filtration for Pathogen Removal: Application, Implementation, and Regulatory Issues, EPA 815-C-01-001, Office of Water, 2001
2. Sorgini L., Evaluation of Low Pressure Membrane: Submerged versus Pressure, AWWA Membrane Technology Conference, 2003
3. Mulder, M., Basic Principles of Membrane Technology, Kluwer Academic Publication, 1996
4. Odendaal, P.E., Wiesner, M.R., Water Treatment Membrane Processes AWWA Research Foundation, 1996
5. Cheryan, M., Ultrafiltration and Microfiltration handbook, Technomic Publish Co., Urbana, 1998
6. Stratton G. Tragellis, Selecting the Optimum Low Pressure Membrane Process, AWWA Membrane Technology Conference, 2003
7. Ogawa T.,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micro filtration membrane process in existing municipal water treatment process, IWA Specialized Conference on Water Environment-Membrane Technology, 2004
8. Pikkarainen A. T., Judd S.J., Jokela J., Gillberg L., Pre-coagulation forMF of an upland s
 

졸업환경공학 환경영향평가의 도시철도 소음 예측에서 노출시간 및 거리비에 대한 고찰

졸업환경공학 환경영향평가의 도시철도 소음 예측에서 노출시간 및 거리비에 대한 고찰
[졸업][환경공학] 환경영향평가의 도시철도 소음 예측에서 노출시간 및 거리비에 대한 고찰.hwp


목차
A B S T R A C 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소음평가 방법
2.2. 국립환경 연구원의 철도소음 평가식(예측식)

3. 연구과정
3.1. 연구방법
3.2. 측정방법 및 장비

4. 결과 및 분석
4.1. 노출시간에 대한 측정 결과
4.2. 고찰(노출시간에 대하여)
4.3. 거리비에 대한 측정 결과
4.4. 고찰(거리에 대한 영향)

5. 결론


본문
A B S T R A C T

These days, the Environmental development of view moved from out of plant treatment to pollution prevention, risk assessment. The Government laid down a law tha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the present condition, it is a more and more important item that predicting about railway noise. So, we took up the study about using factors as exposure time and rating of intervals.
Railway noise usually is evaluated as a Leq but, they dont estimate just Leq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y calculate Leq through a method using factors. We researched about factors which were exposure time and rating of intervals. We chose some open-sites and town around urban railroad. Then we measured railway noise and analyzed out the factors. At same time, we measured Leq using sound level meter. After that, we were comparison between Leq from calculation and measurement.


1. 서론

산업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유동인구 및 물동량의 증가로 교통량이 폭증하여 교통체증이라는 사회문제와 경제적 손실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도심지의 교통체증은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이 생활환경에 대한 불편을 느끼도록 하는 주된 요인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심지를 가로지르거나 외곽으로 순환하는 고속화 도로가 건설되고, 버스전용차로제 등 여러 가지 방법들로 생활의 불편을 해소하고 경제적인 손실 또한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 가운데 도시 철도는 도심과 주택가를 직접 연결하고 대규모의 운송수단으로서 생활환경에 대한 불편을 해소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최근 산업 발전과 환경 보호에 대한 시각이 변화하여, 선 개발․후 복원이 아닌 선 보호․후 개발 개념으로 바뀜에 따라 사전환경성검토와 환경영향평가가 법적으로 정해지는 등 개발 이전 단계에서의 보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에 도시 철도 소음의 예측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최근 중앙환경조정분쟁위원회에서 평가가 끝난 도시 철도 소음에 대한 민원이 발생하여 분쟁조정을 요청한 판례가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 시, 도시 철도 소음을 예측하는데 쓰이는 여러 변수 중 장소 및 거리에 따른 노출 시간 값의 변화를 관찰하고 실측값과 이론값의 차이 등에 관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본문내용
view moved from out of plant treatment to pollution prevention, risk assessment. The Government laid down a law tha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the present condition, it is a more and more important item that predicting about railway noise. So, we took up the study about using factors as exposure time and rating of intervals.
Railway noise usually is evaluated as a Leq but, they d

참고문헌
1. 정일록, 소음진동(이론과실무), 신광문화사, pp. 30, 1955
2. 강대준 외, 사업장 소음의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Ⅱ) - 생활소음과 도시철도소음의 저감 및 관리방안에 관하여, 국립환경연구원, 1993
3. 강대준 외, 사업장 소음의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Ⅲ) - 생활소음과 도시철도소음의 저감 및 관리방안에 관하여, 국립환경연구원, 1994
4. ‘철도소음의 효율적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p. 23~24, 2000
5. 소음진동 공정시험법, 환경부 고시 제2000-31
 

졸업환경공학 반응조건에 따른 도시고형폐기물 가스화 특성

졸업환경공학 반응조건에 따른 도시고형폐기물 가스화 특성
[졸업][환경공학] 반응조건에 따른 도시고형폐기물 가스화 특성.hwp


목차
A B S T R A C 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가스화 공정
22상향 통풍식 반응기

3. 실험 방법
3.1 대상시료
3.2실험 장치 및 운전 조건
3.3분석 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잔류물의 특성
4.2액상 생성물의 특성
4.3 기체 생성물의 수율과 특성

5. 결론


본문
A B S T R A C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optimum operation conditions for desirable products of MSWs gasification through experiments for different operating temperatures, moisture contents.
In this experiment, an updraft-stream gasifier was selected among several reactor types.
A target sample was recomposed of each component based on dry composition of MSWs that are directly collected from D gu, S city. Gasification tests were performed at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and 2kg MSW samples were utilized. Moisture content selected was 15% and 30%. The bottom temperature varied from 600℃ to 1000℃.
Gasification products such as ash, liquid, gas prepared for each gasification temperature were analyzed in terms of composition and heat value.
The yield of gas products(CO, H2, CH4) were higher at elevated temperature. Main components of liquid products are considered water-soluble material. The experimental results of ash anaylsis tend to have lower heat value for the higher gasification temperature condition.
From this point of view, it would be one possibility to try to obtain more gas as a target product, in partial oxidation condition of MSWs.


1. 서론

현재 우리 나라의 폐기물 처리 방법은 매립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소각 처리의 비율은 약 20%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좁은 국토면적과 높은 인구밀도, 급속한 도시화 현상을 고려해 볼때 소각 처리는 점점 증가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때라 제 2차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에 의해 중간처리단계인 소각비율을 상향 조정, 추진하고 있다. 소각은 폐기물 중간처리에 있어서 적절한 방안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최근 다이옥신과 중금속 배출에 따른 많은 문제점으로 인해 설치 및 운영에 있어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가스 냉각시 연소가스의 현열이 감소되어 에너지 가치가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열분해, 가스화 등의 제안들이 제시되었고 일부 유럽 국가들과 일본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열분해 방식은 현시점에서 기술개발단계에 있고 국내의 경우 기술의 도입이 선진국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 불리하게 작용되고 있다. 이에 반해, 가스화 공정은 기존 석탄의 건류가스화 방식을 도시고형 폐기물에 적용시킨 공정으로 가스화 기기의 성능과 증명된 공정들의 기록과 가스화 기술을 통한 가스 생산의 전체 전환효율에 근거를 둘 수 있다. 비록, 가스화, 열분해는 어떤 연료를 생산하기 위한 가격 효율적인 공정으로 증명되었지만, 그 중 가스화 공정만이 상업화에 가장 근접한 기술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가스화 기술은 소각이나 다른 형태의 열처리 방법과 구분되는 것으로 고온하에서 산소에 의한 부분산화를 통해 발생한 CO2,


본문내용
nditions for desirable products of MSWs gasification through experiments for different operating temperatures, moisture contents.
In this experiment, an updraft-stream gasifier was selected among several reactor types.
A target sample was recomposed of each component based on dry composition of MSWs that are directly collected from D gu, S city. Gasification tests were performed at different temp

참고문헌
1. 나재익, 김재호, “폐기물의 가스화의 열역학적 특성 분석”, 한국 에너지 기술연구원 청정에너지 연구부, 2001

2. 노재성, 이응재, 하향통풍식 화염 열분해 소각로에 관한 연구, 고려소각로 공업, 2001

3. 양석준, 홍순정, 이해평, 류경옥, “폐타이어의 열분해로부터 생성된 카본블랙의 특성”, 한국폐기물학회지, 제 15권, 제 6호, 1998, pp 604~615

4. 유영돈, 윤용승, 가스화용융공정의 에너지 및 환경분야 적용 연구, 한국 열분해 용융공학회 추계 학술발표회 및 특별 심포지움, 2001

5. G. Zheng, J. A. Kozinski, “Thermal events occurring during the combustion of biomass residue” Fuel 79, 2000

6. H. Vierrath, B. Buttker and G. Steiner, “Wastes to Energy and Chemicals by Pressure Gasification - Operational Results from Schwartz Pumpe, FRG”, EPRI/GYC Gasification Technologies Conference, Oct 5-8, Grand Hyatt, San Francisco, CAUSA(1997))

7. Henrich, E., Burkle, S., Meza-Renken, Z.I., Rumpel, S., “Combustion and gasification kinetics of pyrolysis chars from waste and biomass”, Journal of Analytical and Applied Pyrolysis, 49, pp 221~241, 1999